• 아시아투데이 로고
충격에 휩싸인 개성공단 입주업체 피해 눈덩이 ...제3국 진출 모색

충격에 휩싸인 개성공단 입주업체 피해 눈덩이 ...제3국 진출 모색

기사승인 2013. 04. 08. 19:01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아시아투데이 송영택·윤호기자 =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은 8일 북한 당국의 북한근로자 철수 방침에 충격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일부업체는 "상상할 수 없는 사태다"면서 "자체힘으로 해결 할 수 없어 최악의 경우 부도의 비운을 맞이할 수 밖에 없지않느냐"며 망연자실하고 있다.  

개성공단 입주기업 한 관계자는 “일부 바이어가 개성공단 입주기업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표명한 상황에서, 북한 근로자 철수사태로 개성공단 운영중단이 장기화될까 두렵다”며 당혹감을 나타냈다.

또 다른 입주업체 관계자는 "이렇게심각한 사태가 오기까지 남북한 정부가 도대체 무얼했는지 답답할 따름"이라고 말했다.  

한재권 개성공단입주기업협의회 회장은  "남측 근로자 철수를 발표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고 본다. 마지막 희망은 버리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은 정부의 정책결정에 따라 향후 대응책을 모색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뚜렷한 대응 방안을 마련할 수 없어 발만 동동 구르고 있는 상태다.  

개성공단기업협회 관계자는 "현재 상황을 파악하고 있을 뿐 어떤 답을 하기가 어려운 상태"라며 "앞으로의 상황을 더 지켜본 뒤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그렇지만 북한 근로자가 철수하면 공장을 돌릴 수 없기 때문에 이번에 아예 철수를 고려하는 기업들도 나올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개성공단 입주업체 절반 가량은 중국을 포함해 동남아 지역으로 대체지역 물색에 나선 상태다. 

한 패션업체 관계자는 "전체 매출에서 개성공단이 차지하는 비중이 5%에 불과하기 때문에 커다란 피해는 입지 않을 것"이라면서 "개성공단의  생산중단이 장기화 될 것에 대비해 중국이나 동남아지역에 생산라인을 확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한 업체는 "더이상 개성공단에서의 제조업 유지가 불안해 제3국을 물색해야할 처지"라며 "이번사태가 진정된다 하더라도 생산기지를 다른 곳으로 이전할 수밖에 없다"면서 자진 철수를 계획했다. 

그러나 그는 "투자액이 워낙 커서 당장 철수는 불가능하다"며 "정치적으로 보상이 이뤄질 시점에 제3국진출을 가시화할 방침이다"고 덧붙였다.

한편 개성공단이 패쇄될 경우 최대 6조 가량의 피해액이 발생할 것이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2009년 개성공단 잠정중단 시 정부는 개성공단 폐쇄에 따른 피해가 6000억원 가량이라고 추정한 바 있다.  

하지만 당시 국회 입법조사처는 정부·KT·한국전력·LH 등이 공단용지 조성, 전력·통신·용수 시설에 투입한 3600억원과 입주기업들의 시설투자비 3700억원, 이 돈을 국내에 투자했을 경우 생산유발효과 6300억원을 더해 1조3600억원으로 추정했다. 

여기에 정부 예산 투입분(약 1조원), 현대아산(7992억원) 등 대기업 투자분, 국내 기업 간접손실까지 합치면 최대 피해액이 6조원에 달할 것이란 추정이 나오고 있다.

한편 개성공단 입주기업 대표들은 9일 오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북한 근로자 철수에 대한 기자회견을 할 예정이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